
티스토리에 작성한 글을 구글 서치 콘솔에 가서 상태를 확인하였는데,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 페이지 가져오기 쪽 에러 메시지가 "리디렉션 오류" 라는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래서 해당 글이 왜? 리디렉션이 떴는지를 확인해보았습니다.원인그래서 크롤링에 사용된 에이전트를 보아하니 스마트폰으로 크롤링을 시도한 것을 확인했습니다.바로 티스토리로 가서 모바일 설정 옵션을 끄도록 하였습니다. 우선 위와 같이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하지 않고 다시 색인 생성 요청을 시도했습니다. 결과생성되지 않던 색인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현 프로젝트에서 Nextjs14 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Nextjs15 의 안정적 버전이 나와 이번에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우선적으로 크게 바뀐 것은 동기 API 들이 비동기로 변경되었고, page, layout 에서 사용되는 params 또한 비동기로 변경되었습니다.그래서 간단하게 변화 부분에 대한 내용과 새롭게 추가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겠습니다.🚀 Next.js 15 업그레이드Next.js 15 버전이 출시되면서 많은 주요 변경 사항과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습니다. React 19 지원과 비동기 API 변화 등 프로젝트에 큰 영향을 줄 요소들이 많으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Next.js 15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가이드와 새 기능을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1. Next.js 15 업..

데모 페이지 개발 개요프로젝트에서 OpenAI의 DALL·E 모델을 사용해 이미지를 생성해왔으나, 실사화 및 비용 문제로 인해 다른 이미지 생성 모델에 대한 탐색을 시작했다. Replicate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API, 특히 Flux, Recraft, Stable 등의 모델을 활용하여 새로운 이미지 생성 데모 페이지를 개발하게 되었다. Replicate 란?Replicate를 사용하면 머신 러닝을 이해하거나 자체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API로 AI 모델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게시한 오픈 소스 모델을 실행하거나, 자체 학습 데이터를 가져와 미세 조정된 모델을 만들거나, 처음부터 사용자 지정 모델을 빌드하고 게시할 수 있습니다.쉽게 말하면, 여러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

팀장으로 임명된 후, 가장 먼저 기존에 없던 체계를 만드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그래서 업무 프로세스를 도입했고, 팀 상황에 맞춰 스토리 포인트 기반 스프린트 체계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이후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진행해온 현재 상황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스프린트 일정 산정 및 목표 설정1. 계획 수립 - 사업 계획 기반으로 전체적인 그림을 만들도록 합니다.2. 목표 설정 - 만들어진 계획을 기반으로 목표를 수립하고 해당 목표를 위한 스프린트를 잡도록 합니다.3. 각 스프린트별 목표 회의 - 가장 큰 목표가 만들어졌으니 진행하고자 하는 각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목표를 지정합니다.스토리 포인트 및 작업 산정스토리 포인트 - 스프린트 내 업무의 볼륨을 측정하는 단위.1. 작업 시간 설정 - 워킹 데이 기준으로..

NVIDIA 인셉션 프로그램을 다녀왔다. 한국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는 자리였고, 특히 데이터와 AI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우선 시작은 엔비디아 sdk 가 얼마나 많은 산업에 관여하는지, 그리고 현재 카카오 클라우드와 공유하고 있는 부분, 인셉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사들에 솔루션을 들을 수 있는 자리였다. 후기 AI를 활용하는 데 있어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예측을 하고, 패턴을 학습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와 같은 분야에서 충분한 데이터가 있을 때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하지만 단순히 데이터를 많이 모은다고 해서 모든 AI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

신임 팀장으로 임명된 지 횟수로 1년이 되었다. 처음 팀장 역할을 맡았을 때는 팀원으로 일하던 시절과는 전혀 다른 관점이 필요하다는 걸 실감하며, 팀장을 위한 방향성과 리더십을 어떻게 유지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 지금 돌아보면 지난 1년 동안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고, 성장하기 위해 지켜오기 위해 노력했던 부분들과 스스로 학습했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여러 성과를 냄과 동시에 여러 이유로 인해 신임 팀장으로 임명받았는데, 기존과는 전혀 다른 관점, 그리고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기존 직무인 프론트엔드뿐만 아니라 백엔드, 서버, 그리고 사업팀과의 소통을 위한 더 넓은 시야와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내가 가진 기술을 계속 디벨롭해야할 뿐 ..
- Total
- Today
- Yesterday
- nuxt2
- dockerfile
- openAI
- vscode
- NextJS
- nextjs14
- svelte
- nextjs15
- docker
- NUXT
- 깃허브
- nodejs
- vue router
- 서버 to 서버
- nextjs13
- React
- AWS
- vue composition api
- 티스토리챌린지
- ChatGPT
- Vite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 오블완
- Github Actions
- seo
- cors
- 타입스크립트
- 스벨트
- Git
- webpac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