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 setting vscode 를 처음에 설치 후, 어떤 것을 셋팅해주면 좋을지 필요한 꿀팁을 적어보겠다. 저장시 불필요한 공백제거 Trim Trailing Whitespace 를 체크하여 줍니다. Settings 에 들어가서 Trim 만 검색해도 나옴. 탭 사이즈 조절 Settings 에 들어가서 tab 을 검색하면 Editor: Tab Size 가 나오는데 여기서 Size 를 조절해주면 됨. 기본적으로 4 가 설정되어 있으니, 2 로 바꿔보자. 단축키 조절 Keyboard Shortuts 에 들어가서 원하는 단축키를 변경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 줄 행삭제를 cmd + k 를 사용하기 때문에 Delete Line 을 검색하여 변경해줍니다. vscode extension vscode 에는 ..
설치 [https://white-blank.tistory.com/38?category=968252] window 관련 자바 설치의 경우, 다음 url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window 와 마찬가지로 아래 오라클 페이지로 들어가 mac 에 맞는 java 버전을 클릭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java8-mac] java8 mac 버전 설치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에서 java -version 을 입력하여 버전이 잘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라이브러리/Java/JavaVirtualMachines 아래에 설치한 jdk 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환경변수 자바의 경로를 잡히도록 환경변수를 설정해줍니다. vi ~/.bash_pr..
Dom 요소(객체) 추가 document.createElement() 를 사용해서 요소를 동적으로 추가합니다. 추가한 요소에는 필요한 스타일, 속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요소 생성 const newNode = document.createElement('div'); // id 속성을 추가합니다. newNode.setAttribute("id", "NewDiv"); // 필요한 스타일을 추가합니다. innerHTML, innerText 도 사용가능합니다. newNode.style.width = "300px"; newNode.style.height = "400px"; newNode.style.backgroundColor = "red"; 동적 요소 트리에 삽입 위의 추가한 요소를 Dom 트리에 삽입해보자...
Vue 란 웹 페이지 화면을 개발하기 위한 컴포넌트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입니다. Angular 의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과 React 의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의 장점을 결합하고 React 의 Virtual Dom 기반의 렌더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Angula, React 의 비해 커뮤니티, 정보량이 적고 지원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템플릿이 적습니다. Vue.js 와 MVVM Vue.js 는 MVVM (Model-View-ViewModel) 패턴을 기반으로 디자인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UI 들을 묶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Model: Json 형태의 데이터, 데이터 처리 부분 View: 화면 UI 부분 ViewModel: View 를 나타내기 위한 Model 로써 Vue 객체(new V..

React 생명주기 (lifecycle) 리액트는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로써, 각 컴포넌트가 라이프 사이클(Mount(생성될 때), Update(업데이트할 때), Unmount(제거할 때))을 가지고 있습니다. React 클래스 생명 주기는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움직입니다. 출처: https://github.com/wojtekmaj/react-lifecycle-methods-diagram GitHub - wojtekmaj/react-lifecycle-methods-diagram: Interactive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Interactive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Contribute to wojtekmaj/react-lifecycle..

터미널 변경하기 VS Code 의 기본 터미널은 PowerShell 로 되어 있는데, GitBash 를 쓰고 싶을 때마다 수동으로 바꿔서 사용했다. 기본 터미널을 GitBash 로 변경해보자!! Settings => Application => Setting Sync 로 들어가 Edit in settings.json 을 클릭! settings.json 안에 아래의 로직을 추가해준다. path 에는 bash.exe 가 있는 경로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terminal.integrated.profiles.windows": { "GitBash": { "path":["C:\\Program Files\\Git\\bin\\bash.exe"], "icon":"terminal-bash" } }, "terminal.int..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AI
- cors
- 티스토리챌린지
- nextjs13
- 타입스크립트
- 스벨트
- Vite
- vue composition api
- nodejs
- github
- AWS
- 오블완
- dockerfile
- React
- NextJS
- 깃허브
- svelte
- Git
- Github Actions
- seo
- Zustand
- ChatGPT
- 서버 to 서버
- vue router
- vscode
- NUXT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 nextjs15
- nextjs14
- nuxt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