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스토리지, 세션스토리지 웹 개발 중 서버단에 저장하지 않아도 될 필수적이지 않은 데이터이지만, 가끔 필요로한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한 경우에 굳이 DB 에 저장하지 않고 웹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웹 스토리지 기법에는 로컬스토리지와 세션스토리지가 있는데, 이 둘의 차이는 저장되는 범위 입니다. 그 외에는 사실상 같은 동작을 하고 있습니다. 저장 범위 로컬스토리지의 경우, 각 탭간의 데이터가 공유되며 세션이 끝나고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브라우저가 다른 경우에는 공유되지 않습니다. 세션스토리지의 경우, 각 세션간에 데이터가 격리되어 사용되며, 각각의 데이터는 공유되지 않고 세션이 끝날시 데이터는 사라집니다. 예제 주의 해야할 점은 key, value 로 지원하지만..
GIt Conflict 깃을 이용하여 협업시 마스터에서 여러 개의 브랜치를 따서 동시에 같은 내용을 작업할시 수정된 내용으로 인해 맞지 않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dex.js 라는 파일에서 두 개의 브랜치를 따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그러다가 먼저 작업이 끝난 브랜치의 소스가 반영됩니다. 그 이후에 이제 늦게 끝난 브랜치를 반영할려고 하면, confict 에러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flict 해결방법 이럴 때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2개정도 있습니다. 첫번째는 마스터의 최신 내용을 내려 받은 후, 해당 브랜치로 머지시킨 뒤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의 경우, 쉽게 Conflict 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그만큼 기록이 남게 됩니다. 두번째는..

console.log 스타일 적용하기 console.log 를 입력하여 콘솔에 나오는 로그에 스타일을 입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티스토리 같은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로그에 크게 TISTORY 라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도 한 번 직접 만들어보자! 일반적으로 console.log 를 입력하면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로그가 찍히게 된다. 여기서 스타일을 입히기 위해서는 %c 를 사용하여 CSS 에서 사용한 스타일을 전달해줍니다. // 일반 console.log("티스토리"); // 스타일 적용 console.log("%c티스토리", "color:#ff7f00; font-size:84px;font-weight:bold;"); // 여러개 스타일 적용 console.log("%c티스토리 %..
mysql 설치 mac 에서 HomeBrew 를 이용하여 mysql 을 설치해보자. brew install mysql설치 후, brew list 를 입력하여 mysql 있는지 확인합니다. mysql 셋팅 및 실행 mysql 셋팅을 위해 서버를 실행시켜줍니다. mysql.server startSuccess! 가 나오면 성공적으로 실행된 것. mysql 설정을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mysql_secure_installation아래와 같은 순서로 설정작업이 진행됩니다. 1. 비밀번호 복잡성 유무 - Y: 복잡하게, N: 단순하게 2. 비밀번호 설정 - 원하는 비밀번호를 설정해줍니다. 3. 사용자 설정 - Y: -u 사용, N: -u 사용 안함 4. 원격 접속 설정 - Y: 원격 접속 불가능, N:..
HomeBrew mac OS 전용 패키지 매니저 입니다. mac 에 필요한 툴 또는 무언가를 설치할 때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래 url 로 접속하여 가장 처음있는 설치하기 커맨드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붙여넣기 해줍니다. https://brew.sh/index_ko 붙여넣기 후,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나온다면 맥북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고 return 을 해주시면 됩니다. 오류 발생 M1 칩이 있는 맥북에서 다운로드시 다음과 같은 경고문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pt/homebrew/bin is not in your PATH) 그런 경우에는 커맨드에서 오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줄 것입니다. Next Steps: => 로 해서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것을 복사해서 실행시켜주면 됩..
git stash git 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와중에 급하게 다른 요청이 들어오거나, 간단한 분석 후 프로토 타입을 만들 때 굳이 커밋까지 필요하지 않다면, stash 를 사용하여 임시 보관소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브랜치를 새로 하나 파서 임시 커밋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나중에 정리할 때 Rebase, Merge 를 해야 함으로 그것 또한 귀찮은 일이다. 우리는 귀찮지 않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길 권장하기 때문에 stash 를 적극 써보자. 개인적으로 정말 브랜치 별로 관리해야할 정도의 다른 기능, 버전이 아니면 개인적으로 하나의 브랜치에서 작업할 때 stash 를 자주 쓰는 편이다. 명령어 git stash // git stash 임시 저장 git stash list // 저장한 리스트 ..
- Total
- Today
- Yesterday
- NUXT
- vue composition api
- Vite
- nextjs15
- React
- vue router
- seo
- 깃허브
- nuxt2
- NextJS
- nodejs
- Zustand
- AWS
- Git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 스벨트
- Ai
- nextjs14
- 서버 to 서버
- nextjs13
- vscode
- 티스토리챌린지
- 타입스크립트
- openAI
- ChatGPT
- svelte
- 오블완
- Github Actions
- github
- cor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