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ors 란
Cross-Origin-Resource-Sharing 의 약자로 다른 도메인에서 리소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프론트단과 백단을 각각 다른 로컬 서버로 개발할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아무런 설정도 없이 다른 도메인에서 서버를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ccess to XMLHttpRequest at 'http://localhost:8000/api/search' from origin 'http://localhost:3002'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
3002 포트에서 8000/api/search 로 서버를 요청한 경우인데, cors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같은 도메인에서 작업하는 방식이 있긴 하지만 매번 그런 식으로 작업하는 것을 불가능하니..
해결
node.js 를 기준으로 사용시 cors 미들웨어를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npm i cors
yarn add cors
// 아래와 같이 셋팅해줍니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cors = require('cors');
const app = express();
// 다른 도메인, 포트에 있는 리소스를 요청을 허용하도록 CORS 허용
app.use(cors());
'업무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에서 PowerMode Combo 기능 끄기 (0) | 2022.03.11 |
---|---|
package-lock.json (0) | 2022.03.08 |
VSCode Setting (0) | 2022.02.17 |
[mac] 자바 설치 (0) | 2022.02.16 |
VS Code 에서 터미널 GitBash(Default)로 변경 (0) | 2022.01.1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타입스크립트
- vscode
- webpack
- Git
- 스벨트
- nodejs
- NextJS
- Vite
- 서버 to 서버
- Github Actions
- svelte
- nextjs14
- NUXT
- openAI
- 티스토리챌린지
- ChatGPT
- nuxt2
- 오블완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 nextjs15
- dockerfile
- nextjs13
- vue router
- cors
- AWS
- React
- vue composition api
- 깃허브
- Zustand
- se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